본문 바로가기

입찰에 도움되는 정보29

나라장터 발주계획 손쉽게 확인 하는방법 입찰을 준비할 경우, 발주처 및 나라장터의 계획들을 미리미리 확인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나라장터의 경우에는 발주계획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발주계획을 페이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설, 용역, 물품 별로 공고들도 따로 확인하셔야하고 매번 들어가서 확인 하는것도 번거롭기 때문에, 아이건설넷에서 무료로 손쉽게 확인 하실수 있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아이건설넷 접속후 좌측 나라장터의 발주계획 공고로 들어가시면, 나라장터의 발주계획 페이지로 연동되어 발주계획을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나라장터 외에 타 발주처 사이트에 경우에도 각 발주처 시스템의 발주계획 공지내용을 확인하여 [커뮤니티] - [공지&뉴스] - [발주계획 공지] 내에 서비스해드리고 있습니다~! 번거롭게 사이트별로 들어.. 2021. 3. 11.
나라장터 입문하기 [낙찰하한율]은 무엇일까!? 낙찰하한율이란? 낙찰하한율은 적격심사 기준에서 정한 적격점수를 획득하기위한 최저 입찰가격의 비올을 말합니다.(=예정가격 대비 낙찰 받을수 있는 최저가격의 백분율) 공고에서 낙찰하한율이 얼마인지는 입찰공고에 있는 적격심사 기준을 확인하신뒤에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낙찰방볍별에 따른 낙찰하한율 낙찰하한율이 적용되는 경우는 추정가격 5천만 원 이하 견적서 제출과 적격심사 및 계약이행능 력 심사로 진행되는 구매 입찰건입니다. 추정가 격 5천만 원 이하 견적서 제출의 낙찰하한율은 88%(일부용역 등은 상이)이며, 적격심사 낙찰 하한율은 심사기준별로 상이합니다. 추정가격 5천만 원 이하의 견적제출의 낙찰하한율 - 소액구매 입찰로 2인 이상으로부터 견적서(입찰서)를 제출받아 낙찰하한율 이상 최저가로 투찰한 업체를 낙.. 2021. 2. 25.
나라장터 입문 필수사항 [입찰용어] 정리 1. 기초금액 복수예비가격작성의 기준이 되는 금액 추정가격+부가세 (단, 조달청의 경우 기초금액은 추정가격 + 부가세가 아닌 경우도 있습니다) * 조달청의 경우 입찰일 7일전에 발표 2. 추정가격 적격심사대상의 기준의 되는 가격을 말합니다. 입찰 및 계약방법의 결정기준이 됩니다. 3. 공사추정금액 추정가격 + 부가가치세 및 관급액 조달청 기준에서 시공비율산정의 기준금액으로 사용됩니다. 4. 추정금액 추정금액 = 추정가격 + 부가세 + 관급자재비를 말합니다. 시공비율 산정의 기준금액이 되기도 합니다. 5. 관급액 또는 관급자재 관급자설치 관급자재(관급자설치 관급액) : 발주처에서 납품 및 설치까지 하는 자재 도급자설치 관급자재(도급자설치 관급액) : 발주처에서는 자재만 제공해 도급자(시공자)가 설치를 하는.. 2021. 2. 18.
나라장터 입찰참여 한도액 간단하게 계산해보자 1. 아이건설넷 사이트에 접속후 입찰참여 한도액 간단계산을 클릭합니다. 2. 클릭하시면 해당 창이 뜨는데 공종및 3년실적, 5년실적을 입력합니다. (*신규업체의 경우 협회로 인정된 실적이 없다면 3년실적, 5년실적을 비워두시면 됩니다.) 또한 준공실적및, 동일법력실적 추가도 가능하니 필요하신분은 해당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알아보는 3년실적 예시) 2019년 실적발표 7월 기준 일경우 - 2019년 7월 이전 : 2017년 + 2016년 + 2015년 (2018년의 실적을 1~2월에 신고하였고 실적발표 되지 않아 실적으로 인정불가) ●예시로 알아보는 5년실적 예시) 2017년 실적발표 7월 기준 - 2017년 7월 이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2012년 + 2011년 .. 2021. 2. 9.